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020년 연봉 실수령액과 연봉 계산기

이틀 전 2020년 최저임금과 주휴수당 그리고 최저임금위원회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에 더해 현재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취업준비생과 사회초년생이라면 궁금해할만한 2020년 연봉 실수령액과 연봉 계산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0년부터 적용되는 건강보험과 장기요양보험 인상률

 

보통 회사에 입사를 할 경우 대부분 약속된 연봉을 12개월에 걸쳐 나누어 지급받습니다. 그리고 월급은 근로소득세와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등 4대 보험에 대한 보험료를 제외한 금액을 실제로 수령하게 됩니다. 앞서 제시된 표가 올해부터 적용이 될 건강보험료와 장기요양보험료입니다. 여기에 고용보험율까지 1.3%에서 1.6%까지 추가되었습니다. 이외 국민연금은 9% 작년과 동일하게 유지되며 산재보험은 직장에서 부담하는 것이니 신경 쓸 필요는 없습니다.

 


다음은 2020년 연봉 실수령액에 대한 정보입니다. 

 

2020년 연봉 실수령액 2000만원에서 4000만원

 

※ 본 실수령액은 2020년부터 변경되는 요율을 적용한 도표입니다.

 

 

2020년 연봉 실수령액 4100만원에서 6000만원

 

※ 비과세 급여나 수당 등은 포함되지 않은 금액입니다.

 

 

2020년 연봉 실수령액 6100만원에서 8000만원

 

※ 부양가족 1인(본인)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2020년 연봉 실수령액 8100만원에서 1억

 

※ 더 정확한 정보는 연봉 계산기를 통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한눈에 보는 2020년 연봉 실수령액 *출처 비즈폼

 


다음은 연봉 계산기입니다.

 

연봉계산기

 

연봉 계산기 같은 경우 여러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중 하나입니다. 월급 혹은 연봉, 비과세액, 부양가족수, 20세 이하 자녀의 수 등을 기입해 보다 정확한 실수령액을 산출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시급, 연봉, 퇴직금, 실업급여 등등 계산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비과세액이란? 대부분 식대로 대표되는 금액인데요, 보통 대부분 회사들이 5000원 X 20일 영업일 기준으로 한 달에 10만원씩 지급합니다. 그러나, 회사마다 상이할 경우가 농후하니 연봉 실수령액 같은 경우 꼼꼼하게 따져 계산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지금까지 2020년 연봉 실수령액과 연봉 계산기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올해부터 인상된 보험료의 영향으로 연봉이 그대로라면 월급 실수령액이 줄어듦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개개인의 연봉협상 및 상승은 그냥 넘어갈 수 없는 현상 중 하나일텐데요, 부디 많은 사회초년생분들과 직장인분들이 하나하나 오목조목 따져가며 자신의 능력을 평가받으며 이에 상응한 보상을 받길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