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4대보험 요율표 알아보기
2020년 연봉실수령액과 더불어 많은 사람이 궁금해하는 2020년 4대보험 요율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크게 노령 장애 사망을 위한 연금보험 그리고 질병과 부상을 대비하는 건강보험 또는 질병보험 더불어 업무상의 재해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산업재해보상보험 마지막으로 실업 등과 관련되어 요구되는 고용보험을 바탕으로 찾아보겠습니다.
사회보험이란? 사회정책을 위한 보험으로서 국가가 사회정책을 수행하기 위해서 보험의 원리와 방식을 도입해 만든 사회경제제도입니다.
사회보험제도는 국민에게 발생한 사회적 위험을 보험방식에 의하여 대처함으로써 국민의 건강과 소득을 보장하는 제도입니다. 여기서 사회적 위험이란? 질병, 장애, 노령, 실업, 사망 등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사회적 위험은 사회구성원 본인은 물론 부양가족의 경제생활을 불안하게 하는 요소가 됩니다.
따라서, 사회보험제도는 사회적 위험을 예상하고 이에 대처함으로써 국민의 경제생활을 보장하려는 소득보장제도인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4대 사회보험제도는 업무상의 재해에 대한 산업재해보상보험, 질병과 부상에 대한 건강보험 또는 질병보험, 폐질 사망 노령 등에 대한 연금보험, 실업에 대한 고용보험제도입니다.
사회보험과 민간보험의 차이는 사회보험 같은 경우, 연대성과 강제성이 적용되며, 민간보험과는 다른 주요한 특성을 위와 같이 갖고 있습니다. 구분은 제도의 목적, 보험가입, 부양성, 수급권, 독점/경쟁, 공동부담여부, 재원부담, 보험료 부담방식, 보험료수준, 보험자의 위험선택, 급여수준, 인플레이션 대책, 보험사고대상, 성격 등이 있습니다.
첫번째, 국민연금은 보험원리에 따라 운영되는 대표적인 사회보험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가입자, 사용자로부터 정률의 보험료를 받고, 이를 재원으로 사회적 위험에 노출되어 소득이 중단되거나 상실될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에게 다양한 급여를 제공하는 제도로 국민연금제도를 통해 제공되는 급여에는 노령으로 인한 근로소득 상실을 보전하기 위한 노령연금, 주소득자의 사망에 따른 소득상실을 보전하기 위한 유족연금, 질병 또는 사고로 인한 장기근로능력 상실에 따른 소득상실을 보전하기 위한 장애연금 등이 있으며, 이러한 급여를 지급함으로써 국민의 생활안정과 복지증진을 실현하고자 합니다.
2020년 4대보험료율 기준소득월액 근로자 4.5% 사업주 4.5% 입니다.
두번째, 건강보험제도는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해 발생한 고액의 진료비로 가계에 과도한 부담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국민들이 평소에 보험료를 내고 보험자인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관리·운영하다가 필요시 보험급여를 제공합니다. 이에 따라, 국민 상호간 위험을 분담하고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회보장제도입니다.
2020년 4대보험료율 건강 보험료와 장기요양 보험료로 나누며 건강 보험료(보수월액 기준)는 각각 보험료율 근로자 사업주 6.67%
3.335% 3.335% 장기요양 보험료(건강보험료 기준) 각각 보험료율 근로자 사업주 10.25% 가입자부담 10.25% 사업자부담 10.25% 입니다.
세번째, 고용보험은 전통적 의미의 실업보험사업을 비롯하여 고용안정사업과 직업능력사업 등의 노동시장 정책을 적극적으로 연계하여 통합적으로 실시하는 사회보장보험입니다.
2020년 4대보험료율은 실업급여 경우 근로자 0.8% 사업주 0.8% 고용안정, 직업능력 개발사업을 각각 150인 미만기업 0.25% 150이상(우선지원대상기업) 0.45% 150인 이상 1,000이 미만 기업 0.65% 1,000인 이상기업, 국가 지방자치단체 0.85%입니다.
네번째, 산재보험이란? 근로자가 업무와 관련하여 질병, 부상, 사망 등의 재해를 입은 경우 이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보상하기 위해 사업주의 강제 가입방식으로 운영되는 사회 보험입니다.
2020년 4대보험료율 광업 5.83 ~ 18.63%, 제조업 0.73 ~2.53%,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0.93%, 건설업 3.7%, 운수 창고 통신업 0.93 ~ 1.93%, 임업 5.93%, 어업 2.93%, 농업 2.13%, 기타의 산업 0.73 ~ 1.03%, 금융 및 보험업 0.73%입니다.
지금까지 2020년 4대보험 요율표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국가가 사회정책을 수행하기 위해 보험의 원리와 방식을 도입해 만든 사회경제제도입니다. 더불어, 국민의 경제생활을 보장하려는 소득보장제도인만큼 부당한 처우가 있을 경우 바로잡고 모든 근로자들이 혜택을 받아 높은 삶의 질을 추구하였으면 하는 바람입니다.